[스크랩] 7월10일부산대한항공투신자살하신저의매형의진실! 7월10일 16년간 다니신 부산대한항공 옥상에서 투신자살하신 저의 매형이 편안히 눈을 감고 하늘나라로 가실수있게 여러분이 도와주세요.. 7월10일날 일어난 사건인데 모르시는분들이 전부일거라 생각합니다.. 왜 여러분들이 모르실까요.. 방송에서 보도 된족이 없기때문이죠.. 왜 kbs나mbc나sbs 하다못해.. 사회 2007.07.19
[스크랩] 130억 십일조 낸 회사, 80만원 생계형 노동자해고 출처 : 130억 십일조 낸 회사, 80만원 생계형 노동자해고글쓴이 : 박성수 원글보기메모 : 사회 2007.07.11
올림픽 좋아하는 나라, 올림픽으로 먹칠할라 "강제 퇴거와 토지 수용으로 각인된 88올림픽" [프레시안 번역=황준호/기자] 온 나라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열기로 뜨겁다. 노무현 대통령은 임기 중 마지막 '업적'을 이루겠다는 듯 멀리 과테말라에까지 날아가 평창 세일즈에 한창이다. 한건주의식 스포츠 이벤트 유치에 대해 과거와 달리 비판의 목.. 사회 2007.07.03
언론 외면 받은 '뉴코아·이랜드' 파업 7월1일. 비정규직보호법 시행 첫날을 맞아 이랜드 그룹 비정규직 노동자 1000여 명이 홈에버 서울 상암점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였다. 같은 계열사인 킴스클럽에서 점거 투쟁을 벌였던 노동자들도 이날 농성에 합류했다. 이들 주장의 핵심은 "비정규직보호법이 오히려 무더기 해고 사태를 야기하고 있다.. 사회 2007.07.02
민주세력, 혁명 이상 변화 이뤄냈다. 올해로 6·10항쟁이 20주년을 맞았다. 1987년 6월의 거리에서 ‘독재타도, 호헌철폐’, ‘직선제 쟁취’를 외치던 시민들의 함성은 군사독재정권으로부터 ‘6·29선언’이라는 항복을 받아냈고, 그 날 그 거리에서 뿌려졌던 민주주의의 씨앗들이 지난 20년간 무럭무럭 자라 성년의 나무로 성장했다. 몇 .. 사회 2007.06.29
그 거리… 82학번 정재권 편집장부터 초등 5학년 길윤형 기자까지 “나와 87년 6월” # 환호성, 그리고 아득함 ▣ 정재권 기자 1987년은 ‘방황’으로 시작됐다. 그해 2월 간신히 대학을 졸업했고, 건강을 추스른다는 이유로 고향이나 다름없는 광주에 머물렀다. 학생운동을 마치고 그 이후의 사회운동을 모색하는 .. 사회 2007.06.29
제대로 된 정책세력 등장한 적 있었나? [한겨레] 좌담 박세일 서울대 교수 / 문민정부 청와대 정책기획 수석 김유배 성균관대 교수 / 국민의정부 청와대 복지노동수석 이정우 경북대 교수 / 참여정부 청와대 정책실장 이병천 강원대 교수 <한겨레> 6월항쟁 시리즈의 마지막 순서는 항쟁 이후 역대 정권에 직접 참여한 청와대 정책주역들.. 사회 2007.06.19
[이미지 UP! 코리아] <5> 전문가 3인 좌담회 "日 '쇼군'이 美를 움직였듯 우리를 알릴 키워드는 문화" 황민하-외국인 노동자·외국진출 기업… 한국 홍보대사로 적극 활용을 김정탁-우리 내부의 품격 높여야… 어글리 코리안 오명 벗어 이동훈-신비주의와 다이나믹… 두가지 이미지를 합쳐야 국가 이미지는 보이지않는 힘이다. 높은 국격(國格), .. 사회 2007.06.13
[스크랩] 기획 인터뷰 - ①당신은 쌀에서 무엇을 보십니까? 당신은 쌀에서 무엇을 보십니까? 농림부 식량정책국 오경태과장 인터뷰 식량정책국 오경태 칼로스 쌀이 최고였던 때가 있었는데, 한국 쌀이 힘을 얻기까지 공공연한 비밀사연... 서울 S대 앞에서 ‘힘?는 식당’을 운영하는 K씨는 한달 전 사간 20kg짜리 150포대 중 안 팔리고 남은 50포대를 반품하러 왔.. 사회 2007.06.13
[스크랩] 기획 인터뷰 - ② “도시 농촌 격차가 작아야 진정한 선진국이죠.” 시골에서 생활해본 적 있나요? 종합병원은 고사하고 동네의원에 가려해도 한 시간에 한 대 오는 버스를 기다려야 하고, 뉴스에 나오는 도시 아이들처럼 학원을 가고 싶어도 교실하나인 동네교습소를 갈 수밖에 없습니다. 대학생들이 농활을 가면 이런 종류의 문제점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 사회 2007.06.13